2015년 10월 21일 수요일

[최신정보] 시력측정용 시력표, 시력측정표, 시력검사표부터 최신 LCD 시력측정표까지

안과나 안경점에서 시력을 측정하는 시력표에는 다양한 시표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그 시표에 참 많은 검사가 있다는 걸 모르고 계셨을 겁니다.

가시력, 분리력, 가독력, 판별력, 색각 검사까지 혹시 들어 보셨나요?

그 시표에는 어떤것들이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1. 알파벳 / 숫자 / 도형 / 그림 / 문자로 시력을 측정하는 시력측정표.















2. 난시 검사를 위한 난시 검사 시력측정표.
















3. 사위, 균형, 입체시에 대한 시력측정표 와 ETDRS, 대비감도를 측정하는 시력측정표.


















4. 색각 검사를 위한 시력측정표.











원 안에 숫자는 잘 보셨나요? ^^
(색각 검사는 시력표로 먼저 시력을 측정한 후에 필요한 경우 검사할 때 사용하죠^^)



일반적으로 안과나 안경점에 가면 아래와 같은 시력표를 한쪽 벽면에 붙여 일정 거리를 두고서 한쪽 눈을 가린 후 한쪽 눈으로만 시력표를 보며 지시하는 시표를 읽으면 본인의 시력을 측정하게 되죠^^



그러다보니 어쩔땐 눈이 좋기도 하고 나쁘기도하고 종종 경험해 보셨을 겁니다.

저도 최근에 알게된 사실인데 시력 검사할 때의 주위 환경과 자신의 컨디션도 시력 검사할 때 중요한 변수로 작용한다고 하네요...^^



일단 정확한 시력 검사를 위해서는 시력측정표(시력표)가 있는데요~



시력표에 대해 좀 얘기드리면...

국내에서는 1951년에 처음 제작되었던 한천석시력표가 널리 이용되어 왔으나 1994년 개정된 국제표준에 맞추어(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8596) 진용한시력표가 개발되어 한천석시력표와 함께 널리 이용되고 있다고 하네요.



시기능은 크게 가시력, 분리력, 가독력, 판별력의 4가지 요소로 나누며, 4가지 요소에 대해 설명드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1. 가시력은 볼 수 있는 최소한의 물체의 크기로 표현

2. 분리력은 떨어져 있는 두 점이나 선을 두 개로 인식하는 능력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시력과 유사하며 망막에 맺히는 최소해상시각으로 시력은 최소시각의 역수로 표현되며, 대표적인 측정 방법은 란돌트 고리이다.)

3. 가독력은 글자, 숫자 등을 인식하는 능력

(지능이나 경험 등의 심리적 요인이 관여하며, 대표적인 측정방법에는 흔히 접하게 되는 여러 종류의 시력판들(진용한시력표, 한천석시력표, 조기치료당뇨망막병증연구(ETDRS)시력표, 스넬렌시력표 등)이 있다)

4. 판별력은 원근감을 파악하는 입체시, 둘 이상의 물체들을 배열해 놓고 일렬로 놓여 있는지를 판별하고 움직임의 여부를 파악하거나 기울어져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 등이 포함된다.



이처럼 시력을 측정하는 시력측정표(시력표)에는 한천석시력표, 진용한시력표, ETDRS 시력표, 스넬렌시력표 4종류가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출처 : 네이버 건강백과


최근 들어 시력을 측정하는 시력표 또한 다양한게 발전하고 있는데요.

그중 종이나 아크릴판이 아닌 LCD 모니터를 이용한 최적의 해상도를 제공하는 시력 검사표(시력표)가 있습니다. 시력표에 사용하는 시표 또한 영상을 통해 다양하게 보여주게 되었답니다.

알파벳 / 숫자 / 도형 / 그림 / 문자 / 난시 검사 / 사위, 균형, 입체 / ETDRS & 대비감도를 측정하는 시력측정표 등이 모두 포함된 시력 측정표(시력표)입니다.














LCD 영상 시력측정기(시력 측정표)


간단한 리모컨 조작으로도 조작이 가능하고, 지시봉을 들고 시력표 옆에 서있을 필요없이 멀리서도 시표를 넘기면서 체크할 수 있습니다.

출처 : 주식회사 라이스 www.riceoptic.com